이번에 얘기할 주제는 나와는 좀 동떨어진 얘기가 아닐까한다.
그리고 사실 이 단어들을 입에 올릴 정도면 굳이 이 글을 보지 않아도 이미 자연스럽게 알게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올릴까 말까 고민을 많이 하였다.
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할 수도 있고, 기본 상식으로라도 알아두면 언젠가 도움이 될 것 같아서 글을 올린다.
아마 많은 사람들이 스트라이크라는 말을 이미 알고 있을 것이다.
그리고 두번 연속 스트라이크를 치는 더블까지도 무난하게 많이 들어보았으리라 예상된다.
그러나 터키, 포 베가부터는 조금 어색할 것이다.
그래서 이번에는 연속으로 스트라이크를 쳤을 때 과연 뭐라고 부르는지에 대해서 적어보려고 한다.
몇 연속 | 한글 | 영어 (English) |
첫 스트라이크 | 스트라이크 | Strike |
2번 연속 스트라이크 | 더블 | Double |
3번 연속 스트라이크 | 터키 | Turkey |
4번 연속 스트라이크 | 포 베거 | Four Bagger |
5번 연속 스트라이크 | 파이브 베거 | Five Bagger |
6번 연속 스트라이크 | 식스 베거, 식스 팩 | Six Bagger, Six Pack |
7번 연속 스트라이크 | 세븐 베거, 세븐 인 어 로우 | Seven Bagger, Seven in a Row |
8번 연속 스트라이크 | 에잇 베거, 에잇 컨섹큐티브 스트라이크 | Eight Bagger, Eight Consecutive Strike |
9번 연속 스트라이크 | 나인 베거 ,나인 컨섹큐티브 스트라이크 | Nine Bagger, Nine Consecutive Strike |
10번 연속 스트라이크 | 텐 베거, 텐 컨섹큐티브 스트라이크 | Ten Bagger, Ten Consecutive Strike |
11번 연속 스트라이크 | 일레븐 베거, 일레븐 컨섹큐티브 스트라이크 | Eleven Bagger, Elevn Consecutive Strike |
12번 연속 스트라이크 | 퍼펙트 게임 | Perfect Game |
볼링은 한 게임이 10프레임인데 어떻게 12번이나 스트라이크를 칠 수 있냐고 의아해하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.
10프레임은 스트라이크를 치면 2번의 투구 기회, 스페어를 치면 1번의 투구 기회를 더 준다.
(그렇기 때문에 10프레임은 보너스 프레임이라고도 불린다.)
즉, 다른 프레임과는 약간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.
이와 같은 특성 때문에 이론상으로 12번이나 스트라이크를 칠 수 있는 것이다.
사실 이쯤에서 밝히고 싶은 것이 있다.
일단 이 연속 스트라이크에 대해서는 갑론을박이 심하다. (예 :베거는 식스까지만 사용한다는 주장이 압도적으로 많다.)
니가 맞다, 틀리다부터 시작해서 무식하다 및 패드립까지의 많은 전쟁을 봐왔고, 필자 역시 헷갈렸다.
그래서 많은 PBA 선수들의 게임을 보고 해설자들이 어떻게 말하는지 귀기울여 들었다.
이에 대한 결과는 '모두 다 다르다.' 였다.
물론 스트라이크, 더블, 퍼펙트 게임까지는 모두 같은 단어를 사용하였다.
그러나 그 다음부터는 달랐다. 포 베거를 햄본(Hambone)이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었고, 9연속 스트라이크를 나인 인 어 로우라고 하는 해설자도 봤다. (예시 :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twVw99z751c)
그래서 내가 내린 결론은 '어떻게 부르더라도 딱히 상관이 없다는 것'이다.
세븐 베거여도 세븐 컨섹큐티브 스트라이크여도 세븐 인 어 로우, 식스 인 어 로우도 상관없다.
그냥 의미만 통하면 상관 없다.
수많은 사람에게 경기 해설을 하는 해설자들이 이미 그렇게 하고 있고, 문제로 삼지 않으니 말이다.
하지만 한국에는 꼭 이런 걸로 트집을 잡으면서 남들보다 우위에 서려고 하거나, 남한테 가르쳐주기 좋아하는 오지라퍼들이 있기 마련이다.
만약 그런 자들을 처단하고 싶다면 이러한 사실을 알려주면 될 것이고(유튜브에 PBA 퍼펙트 게임 영상을 몇 개만 봐도 다르다는 것을 금방 알 수 있다.), 그냥 조용히 지나가고 싶다면 노란 부분만 사용하는 것이 정신 건강에 이롭다.
모두들 퍼펙트 게임을 이루는 그 날까지 모두의 열정을 응원합니다.
P.S :
1. 필자가 직접 찾아본 바에 의하면 영어 표기법은 Bagger가 맞다.
(begger는 사실 그냥 봐도 조금 이상하지 않은가?)
2. PBA 사이트 및 룰북부터 시작해서 그 어느 곳을 찾아봐도 공식 자료에 연속 스트라이크에 대한 정식 언급은 없었다.
(반드시 이 이름으로 불러야한다 같은....)
'취미 > 볼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덱스터 KL (화이트) 볼링화 (0) | 2020.02.10 |
---|---|
볼링 레슨 후기 1 (0) | 2020.02.08 |
초보자의 볼링 용어 3 (0) | 2020.01.29 |
초보자의 볼링 용어 2 (0) | 2020.01.27 |
초보자의 볼링 용어 1 (볼링 레인편) (0) | 2020.01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