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볼링 초보자의 볼링 용어 3편 시작!!
한글 | 영어 (English) | 뜻, 의미 |
애버리지 | Average | 평균 점수 (2게임 이상의 총 득점을 경기 수로 남은 점수). |
스플래시 | Splash | 핀이 볼에 맞은 순간 10개의 핀이 동시에 튀어버리는 통쾌한 스트라이크. |
브루클린 스트라이크 | Brooklyn Strike | 1번 핀을 바깥쪽으로 비껴서 맞추며(오른손잡이라면 1, 2번 핀을, 왼손잡이라면 1, 3번 핀을 먼저 맞히는 것.) 발생하는 스트라이크. 흔히들 줄여서 브루클린이라고도 한다. |
스필러 | Spiller | 1번 핀에 살짝 맞고 다른 핀들이 하나 하나씩 천천히 무너지는 슬로우 모션 스트라이크. |
보너스 프레임 | Bonus Frame | 10프레임에서 스페어 처리를 하거나, 스트라이크를 내면 한 번 더 투구할 수 있어서 10프레임을 보너스 프레임으로 부르기도 한다. |
커브 볼 | Curve Ball | 휘어서 곡선으로 굴러가는 구질. 직선으로 가다가 끝에서만 휘는 훅 볼과는 달리 커브 볼은 대각선으로 가다가 더 크게 휘어져서 포켓에 정면으로 들어간다. |
슬라이드 | Slide | 볼링공을 던지기 위해 어프로치 위에서 부드럽게 미끄러지듯이 발을 내딛는 것. |
블로킹 | Blocking | 레인 정비를 통해 스트라이크 존으로 길을 내는 것을 의미. |
앵커맨 | Anchorman | 볼링을 치기 위해 팀을 꾸렸을 때 마지막으로 투구하는 사람. |
트랙 | Track | 볼의 회전 자국이 기름 모양으로 볼에 둥글게 형성된 모양. |
그루브 | Groove | 레인 상에 형성된 볼이 지나간 자국. |
세미 롤러 | Semi Roller | 볼의 트랙이 엄지 홀을 조금 벗어난 곳에서 형성되는 훅 볼 형태의 구질. 포켓에 이르러 가장 강력한 파워가 형성되는 이상적인 투구 형태이다. |
풀 롤러 | Full Roller | 볼의 중심을 축으로 볼 트랙이 볼의 원주와 같은 크기로 회전하는 스트레이트 구질. |
스피너 | Spinner | 볼의 하단부를 축으로 회전하며 곡선을 그리면서 굴러가는 커브볼 형태의 구질. |
스핀 | Spin | 볼의 회전. |
임팩트 포인트 | Impact Point | 투구된 볼이 핀과 부딪히는 지점. |
액션 | Action | 볼링공이 핀에 부딪힌 후에 생기는 핀의 움직임. |
피니쉬 | Finish | 투구 동작 중에서 마지막 스텝을 취하면서 이루는 동작. |
팔로우 스루 | Follow Through | 투구 동작을 마무리 할 때 투구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연속적으로 손을 뻗는 행위. (전)체조선수 신수지 선수가 이 동작이 아름답기로 유명하다. |
핀 덱 | Pin Deck | 핀을 세워 놓는 곳. |
핀 액션 | Pin Action | 볼링공에 맞은 핀이 휘어지면서 넘어지는 모양. |
피치 | Pitch | 볼링공의 전진에 영향을 미치는 구멍의 형태. 전휘형인 포워드 피치 후위형인 리버스 피치 중심형인 제로 피치가 있다. |
사이드 피치 | Side Pitch | 지공된 구멍의 중앙선이 볼링공의 중심선에서 좌우로 경사진 각도를 뜻한다. |
샌딩 | Sanding | 볼의 표면을 가공하는 것을 말하여, 주로 사포를 이용한다. |
드라이 런, 쉐도우 볼링 |
Dry Run, Shadow Bowling |
가상의 레인 위에서 볼링공을 잡지 않은 채 스윙 연습을 하는 것. 가상에서 연습한다는 점으로 보면 쉐도우 복싱과 비슷한 맥락이 있다. |
턴 | Turn | 릴리스 동작에서 손과 손목을 포켓 방향으로 비트는 행위. |
텐핀 볼링 | Ten Pin Bowling | 10개의 핀을 역삼각형 모양으로 세워두고 진행하는 볼링. 오늘 날의 평범한 볼링을 말한다. |
토너먼트 | Tournament | 볼링에서의 토너먼트는 3개의 게임을 1시리즈로 하며, 3시리즈의 총득점으로 우열을 가리는 경기 방식이다. |
탑 웨이트 | Top Weight | 볼링공에서 구멍이 뚫려있는 부분에 의한 무게 불균형을 막기 위하여 중심 부위에 무게를 추가로 더해 주는 것. |
카운트 | Count | 스페어를 처리한 뒤, 다음 프레임의 제1구로 넘어뜨린 핀 수. (이 경우 득점은 앞 스페어에서 한 번 더 가산한 뒤 이루어진다.) |
드릴 | Drill | 볼링공에 손가락 구멍을 뚫는 것. |
드릴러 | Driller | 지공사. |
피비에이 | PBA | Professional Bowlers Association의 약자로 1958년에 창립된 미국 프로 볼러 협회. |
스티프 앨리 | Stiff Alley | 레인 바닥이 딱딱하여 볼링공이 빨리 굴러가는 레인. 훅 볼과 커브 볼을 던지기 어려워서 홀딩 레인(Holding Lane), 패스트 레인(Fast Lane)이라고도 불린다. |
슬로우 앨리 | Slow Alley | 레인 바닥의 마찰력이 커서 볼링공이 느리게 굴러가는 레인. 훅 볼과 커브볼을 던지기 쉽다. |
크로스 앨리 | Cross Alley | 오른쪽에서 왼쪽에 있는 핀을 겨냥하거나, 왼쪽에서 오른쪽 핀을 겨냥하는 것. 볼을 대각선으로 굴러가도록 하여 양끝에 있는 핀을 처리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. |
솔직히 이 많은 단어들을 볼러들이 사용할지는 모르겠다.
찾아보니 똑같은 상황을 나타내는 단어도 여러 개이고, 서로 다르게 쓰이고 있는 경우도 있어서 올바르게 알고 사용하는 사람이 생각보다 많지 않을 것 같았기 때문이다.
본 글에서는 공식적이고, 최대한 많이 통용되면서 단어와 그 의미를 적으려고 노력했다.
이외에도 더 많은 볼링 용어들이 있으나 별로 중요하지도 않고, 사람들마다 다른 뜻으로 불려서 혼란을 야기할 것 같은 것들은 과감히 빼버렸다. (물론 중요한 단어들은 열심히 검색하여 정확히 적었다.)
다음에는 볼링의 연속 스트라이크를 지칭하는 단어들에 대해서 리뷰해보겠다.
반응형
'취미 > 볼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볼링 레슨 후기 1 (0) | 2020.02.08 |
---|---|
초보자의 볼링 용어 4 (스트라이크편) (0) | 2020.01.31 |
초보자의 볼링 용어 2 (0) | 2020.01.27 |
초보자의 볼링 용어 1 (볼링 레인편) (0) | 2020.01.24 |
초보자의 볼링 장비 - 볼링 가방 (볼링백) (0) | 2020.01.2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