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볼링 용어들에 대해서 찾아보니 정말 엄청나게 많았다.
정보들을 찾고, 취합하고, 어려운 문장들을 쉽게 바꾸는데 생각보다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것을 깨달았다.
블로그, 유튜브 하시는 분들이 왜 그렇게 시간이 오래 걸린다고 하는지 어느정도 실감하게 되었다.
그래도 느리지만 정확하고, 많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.
동호회에서 볼링은 점수가 곧 실력이다. 이 글을 읽은 후 실력이 향상될 수는 없으나 적어도 동호인들과의 대화에서만큼은 밀리지 않고 대등한 정도가 될 수 있을 것이다.
한글 | 영어 (English) | 뜻, 의미 |
스트라이크 | Strike | 첫번째 투구로 10개의 핀으로 모두 쓰러뜨리는 것. |
스페어 | Spare | 제1투구에서 남은 핀을 제2투구에서 모두 쓰러뜨리는 것. |
스플릿 | Split | 첫번째 투구에서 핀과 핀 사이가 벌어진 상태로 남는 것. |
프레임 | Frame | 볼링 한 게임을 이루는 단위로 1게임은 10프레임으로 구성되어있다. |
볼 액션 | Ball Action | 볼이 구르는 상태를 말하며, 이 상태에 따라 스트레이트, 커브, 훅, 백업 등 다양한 상태로 부른다. |
딜리버리 | Delivery | 레인 위에 볼링공을 굴리는 동작으로 보통 스탠스에서 릴리스까지 투구의 전과정을 말한다. |
시어머니, 마더 인 로 | Mother in Law | 스페어가 어려운 핀으로 시어머니 핀이라고 부른다. (실제로 마더 인 로가 시어머니라는 뜻을 갖고 있다.) 보통 7번과 10번핀을 가리켜 말한다. |
베드 포스트, 골 포스트, 스네이크 아이 |
Bed Post, Goal Post, Sneak Eye |
10개의 볼링핀 중에서 양끝에 있는 7번과 10번 핀을 말한다. 스페어 처리가 어렵다. 단어들 자체가 양쪽에 있는 것을 비유적으로 말한 것이기 때문에 연관시켜서 기억하면 좋다. |
그레이드 업 | Grade up | 볼러의 수준이 향상되었을 때 사용하는 말이라는데... 개인적으로 같은 5글자면 '실력 늘었네.'라고 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. |
라인 | Line | 투구된 볼링공이 핀 덱에 이르기까지 레인 위를 굴러가는 궤도를 뜻한다. 간단하게 공의 궤적이라고 생각하는 것도 좋다. |
라인 볼링 | Line Bowling | 공의 궤적을 머리 속으로 시뮬레이션 한 뒤 그에 맞춰서 투구하는 볼링. 시뮬레이션 미리 하고 치는 거라고 봐도 좋다. |
그레이브 야드 | Grave Yard | 레인이 나쁘거나 낡아서 볼링공을 컨트롤하기 어려워 볼러를 곤란하게 하는 레인이다. |
노즈 | Nose | 헤드핀을 쓰러뜨리는 것. |
노즈 히트 | Nose Hit | 헤드핀을 정면으로 맞혀서 쓰러뜨리는 것. |
포켓 | 오른손잡이 볼러의 경우 : 1번과 3번 핀 사이 왼손잡이 볼러의 경우 : 1번과 2번 핀 사이 |
|
스트라이크 포켓 | Strike Pocket | 오른손잡이 볼러가 1, 3번핀 사이로 볼을 넣는 것. |
그레이즈 브루클린 | Graze Brooklin | 왼손잡이 볼러의 스트라이크 포켓인 볼링핀 1,2번 사이로 넣는 것을 말한다. |
푸쉬 어웨이 | Push Away | 스탠스 자세에서 들고 있던 공을 몸 바깥쪽으로 밀면서 어프로치를 시작하는 동작. |
백 스윙 | Back Swing | 어프로치에서 볼을 뒤로 휘두르는 동작. |
포워드 스윙 | Forward Swing | 뒤로 가져간 볼을 진자의 원리를 이용하여 앞쪽으로 이동시키는 것. |
다운 스윙 | Down Swing | 푸쉬 어웨이 동작이 끝난 직후부터 백스윙이 시작되기 전까지의 팔 움직임. |
마이 볼 | My Ball | 본인이 소지한 개인소유 볼. |
다임 스토어 | Dime Store | 5번 핀과 마더 인 로우 중 한 핀이 남은 스플릿. |
3스텝 딜리버리 | 3 Step Delivery | 3보를 걸어서 볼링공을 릴리스하는 방법으로 신장이 커서 보폭이 넓은 사람들이 주로 사용한다. |
4스텝 딜리버리 | 4 Step Delivery | 4보를 걸어서 볼링공을 릴리스하는 방법. 볼링의 딜리버리 중에서 기본으로 통함. |
5스텝 딜리버리 | 5 Step Delivery | 5보를 걸어서 볼링공을 릴리스하는 방법. 프로 볼러들이 주로 사용하는 방법이고, 투핸드 볼러도 많이 사용한다. |
인스텝 | Instep | 마지막 4스텝 시, 슬라이드 하는 발이 몸 안쪽으로 향하게 하는 스텝. |
어드레스 | Address | 투구 동작을 시작하기 전에 어프로치 위에 서 있는 자세를 말한다. 셋업(Setup) 또는 스탠스(Stance)라고도 불린다. |
에임 스팟 | Aim Spot | 본인이 목표로 설정해 놓은 스팟. |
오픈 프레임 | Open Frame | 스트라이크 또는 스페어로 처리하지 못한 프레임. |
에러, 미스, 블로우 | Error, Miss, Blow | 2번의 투구를 했음에도 핀을 다 쓰러뜨리지 못해 오픈 프레임으로 끝낸 경우. |
제로 피치 | Zero Pitch | 볼링공 지공 시 볼의 중심점을 향하여 똑바로 뚫려있는 기본형 피치. |
체리 | Cherry | 스페어를 처리하려고 투구하였으나 앞 핀만 쓰러진 경우. |
키 핀 | Key Pin | 남아 있는 핀 중에서 스페어 시 가장 중요한 핵심이 되는 핀. |
킹 핀 | King Pin | 스트라이크를 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핀. 1, 5번 핀. |
헤드 핀 | Head Pin | 1번 핀. |
버킷 | Bucket | 오른쪽으로 던지는 경우 : 2, 4, 5, 8번 핀이 남아있는 상태. 왼쪽으로 던지는 경우 : 3, 5, 6, 9번 핀이 남아있는 상태. |
베이비 스플릿, 머피 | Baby Split, Murphy | 첫 투구 후 남은 2개의 핀이 정확히 1핀 간격을 유재한 채 남아있는 스플릿. 스플릿 중 처리하기 쉬운 스플릿. 예를 들어 2,7 혹은 3,10번 같은 경우. |
메이킹 인 피트 | Making in Fit | 4, 5 혹은 5, 6 또는 9, 10번 핀과 같이 남아있을 때, 스플릿을 처리할 때 두개의 핀 사이로 볼을 던져 핀을 쓰러뜨리는 경우. |
인사이드 볼링 | Inside Bowling | 오른손잡이의 경우 볼링공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치우쳐 볼을 투구하고, 왼손잡이의 경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크게 휘면서 들어가는 볼. |
빅 포, 빅 이어즈, 더블 피너클 |
Big Four, Big Ears, Double Pinnacle |
4, 6, 7, 10번 핀들이 남아있는 스플릿을 말한다. |
빅 파이브 | Big Five | 한쪽에 2개의 핀, 반대족에 3개의 핀이 떨어져 남아있는 스플릿을 뜻한다. 예) 2, 4, 6, 7, 10번 핀 |
더블 우드 | Double Wood | 1,5 혹은 2,8 또는 3,9핀처럼 핀이 2개 남았는데 그 중 한핀이 다른 핀 바로 뒤에 있어서 잘 보이지 않는 경우. |
신시내티 | Cincinnati | 세 핀 간격을 둔 가로 일직선상의 스플릿. 4, 6번 핀 7, 9번 핀 8, 10번 핀 스플릿이 이에 해당한다. |
릴리 | Lily | 스페어에서 5, 7, 10번 핀이 남는 스플릿을 의미. 처리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. |
포이즌 아이비 | Poison Ivy | 처리하기 까다로운 3, 6, 10번이 남아있는 스플릿. |
크리스마스 트리 | Chrstmas Tree | 오른손잡이 : 3, 7, 10번 핀 스플릿. 왼손잡이 : 2, 7, 10번 핀 스플릿. 크리스마스 트리와 닮았다고 하여 이름이 붙여짐. |
클로스 라인, 피켓 펜스 | Clothes Line, Picket Fence | 1, 2, 4, 7번 핀 혹은 1, 3, 6, 10번 핀 모양으로 남은 스플릿. |
그립 | Grip | 볼을 쥐는 방법. 대표적으로 컨벤셔널 그립, 세미핑거 그립, 풀핑거 그립이 있다. 추후에 새로운 글로 자세한 설명을 올리려고 한다. |
컨벤셔널 그립 | Conventional Grip | 볼링공의 구멍에 중지와 약지를 두번째 관절까지 깊숙히 넣어서 잡는 방법의 그립. |
세미핑거 그립 | Semi Finger Grip | 볼링공을 잡을 때 중,약지의 둘째와 셋째 마디 사이까지 손가락을 넣어저 잡는 방법. |
풀핑거 그립 | Full Finger Grip | 중,약지의 첫번째 마디까지 넣어서 공을 잡는 방법. |
스팬 | Span | 볼의 엄지 구멍과 중지, 약지 구멍까지의 거리. |
브리지 | Bridge | 볼에서 중지 구멍과 약지 구멍의 간격. |
리버스 피치 | Reverse Pitch | 손가락 구멍의 중앙선이 볼의 중심점보다 바깥쪽으로 치우진 상태로 이루어진 지공 각도이다. 결과적으로 각도가 완만해져서 손가락이 쉽게 빠지게 되어서 릴리스하기가 쉬워지는 지공의 한 방법이다. |
도도 | Dodo | 변칙적인 훅을 만들기 위해 부당하게 무겁게 한 볼링공을 말한다. 즉, 공식대회에서 적용되는 심사규정에 위배되는 볼링공. |
도도 스케일 | Dodo Scale | 볼링공 측정용 저울. |
데드볼 | Dead Ball | 투구를 하였으나 무효가 되어 쓰러뜨린 핀이 득점으로 가산되지 않는 볼. |
매치 플레이 | Match Paly | 개인 또는 팀이 1대 1로 대결을 벌인 후 점수 대신 게임의 승수로 승부를 가리는 방식. 예) 200 : 0 으로 이긴 경우와 200 : 199 으로 이긴 경우 모두 같은 1승으로 처리됨. |
파운데이션 | Foundation | 9프레임에서 스트라이크를 얻는 것. |
스트라이크 아웃 | Strike Out | 10번 프레임에서 3개의 스트라이크를 치는 것. |
스트레이트 볼 | Straight Ball | 투구된 볼이 커브나 훅을 생성하지 않고, 직선으로 핀 덱까지 진행하는 구질. |
더치맨, 샌드위치 게임 | Dutchman, Sandwich Game | 스트라이크와 스페어를 순서대로 번갈아가며 치면서 200점이 되는 게임을 말한다. |
브레이크 포인트 | Break Point | 레인 위에서 훅이 가장 크게 일어나는 지점. |
내추럴 훅 | Natural Hook | 정상적인 브레이크 포인트에서 휘어지는 표준적인 훅 코스로 가장 이상적인 훅을 일컫는다. |
후킹 포인트 | Hooking Point | 투구한 볼이 휘기 시작하는 지점. 보통 드라이 존을 의미하나 공을 자주 던지다보면 오일존의 오일을 드라이 존으로 옮기는 경우가 있어 엄밀히 따지자면 다르다. |
훅 볼 | Hook Ball | 직선 궤도를 형성하다 핀 근처의 드라이 존에서 곡선 궤도를 이루는 구질. |
로프트 더 볼 | Loft the Ball | 볼이 발목 옆에서 부드럽게 레인에 투구되지 않고, 파울라인으로부터 한참 떨어진 곳에 떨어지는 볼. 주로 '쿵'하는 큰 소리가 동반된다. |
리프트 | Lift | 볼에 회전력을 더 주기 위하여 볼에서 손을 떼는 순간 구멍에 손가락을 걸어서 올리는 동작. |
리프트 앤 턴 | Lift and Turn | 훅 볼의 하나로써 오른손잡이 볼러가 투구 시 손목을 순간적으로 왼쪽으로 돌리는 것. (왼손잡이는 반대.) |
물론 이외에도 여러가지가 있다.
볼링 용어를 검색하면서 정말 여러가지 단어들이 있다는 것을 새삼느꼈다.
한번에 다 정리하면 좋겠지만 너무 많기에 나눠서 글을 올리려고한다.
가까운 시일 내에 볼링 용어 3편으로 돌아오겠다.
그리고 단어는 아는데 무슨 뜻인지 모를 때, 즉 원하는 단어를 찾고 싶을 때는 Ctrl + F(Ctrl을 누르고 F를 누르는 것)를 누르고 원하는 단어를 검색하면 나올 것이다.
나오지 않는다면 볼링 레인편 혹은 3편에서 검색해주기를 바란다.
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
반응형
'취미 > 볼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초보자의 볼링 용어 4 (스트라이크편) (0) | 2020.01.31 |
---|---|
초보자의 볼링 용어 3 (0) | 2020.01.29 |
초보자의 볼링 용어 1 (볼링 레인편) (0) | 2020.01.24 |
초보자의 볼링 장비 - 볼링 가방 (볼링백) (0) | 2020.01.22 |
초보자의 볼링 장비 - 볼링 아대 (0) | 2020.01.20 |